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코어라인소프트, 220억 규모 멀티모달 의료AI 개발 국책과제 참여

코어라인소프트, 220억 규모 멀티모달 의료AI 개발 국책과제 참여

  • 기자명 유덕규 기자
  • 입력 2025.08.21 10:39
  • 수정 2025.08.21 13:4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총 26개 기업·병원·기관 참여

/코어라인소프트
/코어라인소프트

코어라인소프트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하는 총 220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 과제인 ‘의료품질 및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다기관 멀티모달 기반 모델 구축 및 의료서비스 지원 플랫폼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의료 AI가 단일 모달리티 중심의 특화형(Specialist)에서 다중 모달리티를 통합하는 범용형(Generalist) 모델로 진화하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이 총괄을 맡은 이 사업은 코어라인소프트·네이버클라우드·Public-AI·Emocog 등 4개 기업과 서울대병원·분당차병원 등 8개 병원, KAIST·울산대학교 등을 포함해 총 14개 기관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 의료 AI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사업 총괄책임자인 양동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는 “다기관이 보유한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연합 학습하고, 영상·문서·음성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통합 분석하는 범용 의료 AI는 향후 진료 환경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의료 현장에 최적화된 국산 의료 LLM 구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흉부 CT 기반 다중 질환 분석 기술과 생성형 AI를 결합해, 특정 진료과(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암·만성질환, 중환자질환)에서 활용 가능한 의료서비스 지원 AI 솔루션 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진료·간호·환자 소통·연구·행정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김진국 코어라인소프트 대표는 “이번 정부 과제 참여를 통해 당사의 흉부 영상 분석 기술이 멀티모달 의료 AI 플랫폼 개발과 임상 실증에 활용될 수 있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국내외에서 축적한 흉부 영상 분석 경험과 기술력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지난해 국내 의료 AI 기업 최초로 AI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IEC 42001’ 인증을 획득했으며, AI 신뢰성을 강화하는 ‘이중 AI 구조’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템플헬스, 3DR Labs 등과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이번 과제 수행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