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개최한 ‘이프 카카오(if kakao25)’ 컨퍼런스에서 카카오톡과 AI를 결합한 ‘일상 AI’ 비전을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의 도래로 우리의 일상도, 대화 방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며 “목적형 메신저에서 탐색형 서비스로 진화하는 카카오톡 개편을 통해 AI의 문턱을 낮춰 카카오톡처럼 쉽고 편하게 최신 기술을 향유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가장 주목받는 변화는 다음달 출시가 예고된 오픈AI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챗GPT 서비스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별도 앱 설치 없이 채팅탭에서 바로 챗GPT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카카오맵, 선물하기, 멜론 등 카카오 서비스와 연결되는 ‘카카오 에이전트’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한다는 게 카카오의 설명이다.
카카오는 자체 AI 기술인 ‘카나나(Kanana)’도 함께 선보였다. 대화요약, 통화녹음, 숏폼 생성 등의 기능과 기존 샵(#)검색을 대체할 ‘카나나 검색’, 온디바이스 기반 AI 서비스 ‘카나나 인 카카오톡’ 등이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특히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스마트폰 내에서 작동하는 온디바이스 AI로, 대화 맥락을 파악해 일정관리, 예약, 구매, 지식검색 등을 먼저 제안하는 서비스다. 강지훈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프라이버시 우선(Privacy First)’ 원칙 하에 이용자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도 똑똑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온디바이스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도 출시 15년 만에 대규모 개편을 단행한다. 홍민택 카카오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는 “이용자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대화와 관계, 일상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주요 변화로는 △채팅방 폴더 기능 도입 △메시지 수정 기능 추가 △보이스톡 통화 녹음 및 AI 요약 △세 번째 탭을 숏폼과 오픈채팅을 담은 '지금탭'으로 개편 △친구탭 프라이버시 기능 강화 등이 있다. 이러한 업데이트는 오늘 오후부터 순차 적용된다.
카카오는 향후 계열사와 공공기관, 외부 파트너가 참여하는 AI 서비스 생태계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오픈한 ‘PlayMCP’ 플랫폼을 통해 AI 서비스 툴 제작과 등록을 지원하고, 마켓플레이스 ‘PlayTools’로 AI 서비스와 이용자를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if(kakao)25 컨퍼런스는 오는 25일까지 계속되며, 24일에는 AI 서비스 생태계와 카나나 모델 진화, AI 안전성 등을 다루는 세션이 이어진다.
올리버 제이 오픈AI 인터내셔널 비즈니스 총괄은 “카카오와 협력해 ChatGPT를 새롭고 현지화된 방식으로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ChatGPT 경험을 카카오 생태계와 결합함으로써 사람들의 일상에서 AI가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