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미국-인도 관세전쟁, AI 시장에선 다르다

미국-인도 관세전쟁, AI 시장에선 다르다

  • 기자명 김동원 기자
  • 입력 2025.08.28 12:2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0% 관세 부과로 외교 채널 막힌 양국
14억 인구 시장 가진 인도, AI 독립 선언
오픈AI는 저가형 요금제로 인도 공략 강화

/일러스트=챗GPT 달리

미국이 인도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하며 양국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가 새로운 갈등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으로는 무역 전쟁을 벌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AI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모순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 미국, 인도에 50% 상호관세 적용

미국이 인도에 부과한 50%의 상호관세가 본격 적용됐다. 상호관세 25%에 보복성 관세 25%를 더한 수치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구매 중단을 요구했지만, 인도가 이를 거부하면서 관세 상승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상호관세가 50% 부과된 국가는 인도와 브라질을 비롯해 인구 230만명 수준의 아프리카 소국 레소토가 전부다.

이번 관세 부과는 인도엔 큰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인도의 단일 최대 수출국이다. 지난해 인도의 대미 수출은 약 870억 달러(약 120조 8000억원)로 전체 수출의 18%를 차지했다. 관세 대상이 된 품목은 섬유, 보석, 가죽제품, 의약품, IT 서비스 등 인도 경제의 핵심 산업들이다. 로이터 통신은 인도의 대미 수출 상품 중 약 55%가 관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갈등의 심각성은 외교 채널에서도 드러났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미국의 보복성 관세율 설정 후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를 4번이나 거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독일 매체 FAZ와 일본 닛케이아시아 등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몇 주 동안 모디 총리에게 전화 통화를 시도했지만, 모디 총리는 일부러 이를 받지 않았다.

비상 상황에 돌입한 인도 정부는 세금 감면과 국내 자립을 통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던 총리는 최근 독립기념일 축하 행사에서 “경제적 이기심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른 이들이 우리를 옭아매도록 내버려두지 말아야 한다”고 발언했다. 경제적 자립의 중요성을 상징한 말이었다.

◇ AI 활용 인구 많은 인도, ‘AI 자립’으로 맞서

인도의 자립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시작됐다. 인도 정부는 지난해 ‘인디아AI(IndiaAI) 미션’에 12억달러(약 1조7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의 정부 주도 AI 투자였다.

인도는 이번 투자를 통해 120개 이상 언어와 1만9000여개의 방언을 가진 언어적 다양성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바라트GPT’같은 자체 개발 모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미 인도 정부는 엔비디아 H100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3000개를 포함해 1만9000개의 GPU를 AI 연구용으로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인도가 미국과 중국이 AI 패권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제3의 축을 형성하려 한다”고 평가했다.

사실 인도는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AI 기업에서 탐내는 시장이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다. 2023년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약 14억 3000만 명)에 올랐다. 연령도 젊다. 인도 인구의 평균 연령은 27세로, 인구 47%가 25세 미만이다. AI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다고 평가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핵심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AI 기업인 오픈AI는 인도 시장을 겨냥해 기존 요금제의 5분의 1 수준인 월 399루피(약 6400원)짜리 ‘챗GPT Go’ 요금제를 출시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인도는 우리에게 두 번째로 큰 시장”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의 보복성 관세율에 인도는 AI 자립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AI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사용 능력을 지닌 국가인 만큼, AI 독립을 추진하면서 해외 AI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 AI 업계의 의견이다. 국내 AI대학원 교수는 “인도는 데이터 현지화 요구나 자국 AI 산업 보호 정책으로 맞설 수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미국은 AI 서비스까지 무역 분쟁 대상에 포함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IT 서비스가 인도 대미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AI 기술도 새로운 분쟁 영역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