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운영 시스템 기업 배스트 데이터(VAST Data)는 AI 컴퓨팅 플랫폼 개발사 래블업(Lablup)과 전략적 협업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정부 주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위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국내 인프라에서 학습·배포할 수 있는 고성능 데이터 기반을 공동 구축한다.
이번 협력은 배스트의 ‘AI 운영체제(AI OS)’와 래블업의 개방형 AI 컴퓨팅 플랫폼 ‘백엔드닷AI(Backend.AI)’를 통합한 것이 핵심이다. SK텔레콤의 소버린 AI 클러스터에서 구동되는 이 통합 환경은 고성능 GPU 전반에 걸쳐 모델 학습을 자동화하고 가속화한다.
래블업은 기존 전통적 스토리지 인프라로는 초거대 모델 학습에 필요한 처리량과 동시성 지원이 어렵다고 판단해 배스트 데이터를 선택했다. 배스트의 DASE(분리형 공유) 아키텍처를 통해 컴퓨팅 환경과 스토리지를 독립적으로 확장하면서도 연구자들이 데이터를 프로젝트 간 빠르게 공유할 수 있게 됐다.
신정규 래블업 대표는 “백엔드닷AI에 배스트의 AI 운영체제를 통합함으로써 개발자와 기업이 현대적인 AI가 요구하는 신뢰성과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대규모 데이터셋과 복잡한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며 “AI 컴퓨팅 역량을 극대화하면서 주권성과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는 기술적 시너지를 입증한 사례”라고 말했다.
통합 플랫폼은 소버린 데이터 통제, 고성능 데이터 인프라, 원활한 협업을 위한 단일 네임스페이스, 보안 기반 멀티테넌트 확장성 등을 제공한다. 특히 배스트의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아키텍처를 통해 AI 라이프사이클 전반에서 데이터 위치와 보호·관리·감사 방법을 보장할 수 있다.
알론 호레브 배스트 데이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GPU 집약적 환경이나 소버린 AI를 고려하지 않은 기존 레거시 스택은 현대적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면서 ”배스트 AI OS를 통해 컴퓨트 오케스트레이션과 데이터 인텔리전스를 통합해 국가가 AI 혁신을 스스로 소유하고 통제하는 한편 가속할 수 있는 단일 패브릭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소버린 AI 이니셔티브는 전적으로 국내 기술로 구축된 글로벌 경쟁력이 높은 기초 모델을 개발해 해외 클라우드 및 소프트웨어 공급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업스테이지가 주도하고 국내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컨소시엄 내에서 백엔드닷AI와 배스트 AI OS는 초거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해 대형 사전 트레이닝과 파인 튜닝을 수행하고 있다.
배스트 데이터는 2009년 설립된 AI 운영 시스템 기업이며, 래블업은 2015년 설립돼 GPU 컴퓨팅 운영 모델을 제공하는 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