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소비자용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 진출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 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오픈AI가 생성형 AI 기반 개인 건강 비서를 포함한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오픈AI는 이에 대한 공식적인 논평을 거부했다.
오픈AI는 최근 헬스케어 분야 인재 영입을 했다. 지난 6월 의료 관련 플랫폼 ‘독시미티’의 공동 창업자 네이트 그로스가 헬스케어 전략 총괄로 합류했고, 8월에는 애슐리 알렉산더 인스타그램 부사장을 헬스 제품 부문 부사장으로 영입했다.
지난 10월 HLTH 콘퍼런스에서 그로스는 “챗GPT는 매주 약 8억 명의 활성 사용자를 끌어모으고 있다”며 “그 가운데 상당수가 의료 조언을 얻기 위해 서비스를 찾는다”고 밝혔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지난 8월 GPT-5를 선보이면서 건강 관리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현재 오픈AI는 의료진들과도 의료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제약사들과도 신약 발견을 위한 기술 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들도 개인 건강기록 통합 플랫폼 분야에 도전해 왔지만 의료 데이터 규제 준수나 의료 데이터 오·해석 시 책임 문제 등으로 사업을 접거나 원래 목표보다 축소했다며 오픈AI도 이 문제를 선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구글은 사용자 수 저조를 이유로 헬스 기록 앱 서비스를 2011년 종료했다. 아마존도 2023년 피트니스 트래커 할로(Halo) 사업을 철수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헬스볼트 플랫폼도 역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2019년 중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