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인하대, 이차전지·바이오 분야 특성화대학 선정

인하대, 이차전지·바이오 분야 특성화대학 선정

  • 기자명 구아현 기자
  • 입력 2025.06.16 18:48
  • 수정 2025.06.16 18:5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첨단인재 양성 체계 확립

지난 1월 열린 인하대 이차전지사업단의 지산학 성과포럼 모습. /인하대 
지난 1월 열린 인하대 이차전지사업단의 지산학 성과포럼 모습. /인하대 

인하대가 교육부의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의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에 신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교육부의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은 대학이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학사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첨단산업 분야 양성 체계 구축, 교원 확보, 실험·실습 기반시설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인하대는 지난해 반도체 분야에 선정된 데 이어 이번에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도 신규 선정되면서 총 420억원의 사업비를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이끌 첨단인재 양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다.

인하대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설계 기술, 사용 후 재활용’을 특성화 분야로 설정해 이번 사업에 선정됐다.

이차전지 분야를 초격차로 이끌 전문 인력양성을 비전으로 I-BEST(Inha Battery Educatiom amd Solution Transfer) 프로그램을 구축해 △교과와 비교과 균형 교육을 통한 통합형 인재 육성 △이차전지 심화 특성화 교육을 통한 초격차 전문 인재 육성 △교육 개방화 및 보급 확산을 통한 융합형 인재 육성 △실험·실습 강화를 통한 실무형 인재 육성에 힘쓴다.

수요자 중심의 복잡하고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설계·제품 적용 단계부터 재활용을 고려한 역설계 기반의 최적화 설계 기술 교육과 이차전지의 자원순환과 환경 지속성 확보를 위해 배터리 사용량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사용 후 배터리를 처리하는 재활용 기술 교육을 중점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아울러 학·석·박 연계형 교육 이수체계를 구축하고 수도권 이차전지 산업에 최적화된 융합형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는 ‘바이오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를 특성화해 사업에 선정됐다.

인하대는 미래 첨단 글로벌 바이오 산업을 이끄는 차세대 특화 인재 양성을 목표로 바이오의약품 생산·품질관리 중심의 AI 연계 융합교육을 추진하고 생산공정, 품질관리, AI 기술을 아우르는 실무형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산학협력과 글로벌 역량을 반영한 학제 간 통합 교육 설계도 나선다.

△스마트 제조 패러다임 전환 △실무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 △디지털 기반 융합교육 전환 △고급 품질관리 교육체계 구축 △산업 수요 기반 교육 강조 등 바이오 제조 및 품질관리 전략을 펼치면서 국가전략기술인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제조·품질 관리 전문인재 양성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인하대는 지난해 우리나라 주요 첨단산업으로 자리 잡은 바이오 분야의 융합형 인재를 심도 있게 양성하기 위해 기존 공과대학의 생명공학과, 바이오제약공학과(계약학과)와 자연과학대학의 생명과학과를 하나로 묶은 독립학부인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를 만들었다.

생명공학과에서 2024년 신산업·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부의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차세대바이오헬스 분야에 선정되면서 첨단바이오의약융합전공을 신설해 운영했고, 올해부터 교육부 첨단학과 인가를 받아 신설된 첨단바이오의약학과를 운영하고있다.

인천 송도는 국내 바이오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곳이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수많은 바이오 관련 기업과 연구시설 등이 모여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특성화대학에 선정된 것은 인하대의 우수한 교육과정과 연구역량을 인정받은 결과물”이라며 “국가 발전에 기여할 첨단산업 인재 양성 거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산학 협력과 기술 혁신을 통해 산업 생태계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