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루닛, AI로 유방암 발견율 증가 입증... ‘네이처’에 게재

루닛, AI로 유방암 발견율 증가 입증... ‘네이처’에 게재

  • 기자명 유덕규 기자
  • 입력 2025.03.10 17:0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루닛
/루닛

루닛이 인공지능(AI)를 통해 유방암 발견율이 증가했다는 것을 입증한 연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루닛은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활용한 대규모 다기관 전향적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이나 미국처럼 한 명의 영상의학 전문의가 유방촬영술을 판독하는 ‘단독 판독(Single Reading)’ 환경에서 AI의 활용 효과를 검증한대규모 전향적 연구다.

루닛은 AI가 진단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재검사는 늘리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했다.

장윤우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영상의학과 교수와 류정규 강동 경희대학교병원 교수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지난 2021년 2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강동 경희대학교병원, 노원 을지대학교병원, 건국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40세 이상 여성 2만45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국가 암검진 유방촬영술을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유방 영상의학 전문의’ 단독 판독과 AI의 도움을 받아 판독한 결과를 1년 추적 검사를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AI를 활용한 판독 시 유방암 발견율(Cancer Detection Rate, CDR)이 1000명당 5.7명으로 AI 미사용 시(1000명당 5.0명) 대비 13.8% 증가했다.

또한 연구팀은 추가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해 ‘일반 영상의학 전문의’가 AI를 활용할 경우, 유방암 발견율이 1000 명당 3.9명에서 4.9명으로 26.4%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AI를 통해 20㎜ 미만의 작은 크기거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초기 유방암을 의미 있게 추가 발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 주저자인 장윤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유방 촬영 ‘단독 판독’ 환경에서 AI를 활용하면, 유방촬영술 판독 경험이 많은 유방 영상의학 전문의 뿐만 아니라, 판독 경험이 부족한 일반 영상의학 전문의 모두 유방암 암 발견율을 높일 수 있다”며 “AI가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