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 2025’가 3일(현지 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 비아 전시장에서 개막한 가운데 국내 이동통신 3사(SKT, KT,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AI) 수익화를 위한 글로벌 확장 전략을 꾀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각 사는 AI 데이터센터(DC)와 에이전트를 공통 기반으로 삼으면서도 SKT는 초대형 AI 데이터센터(AI DC), KT는 기업용 AI 에이전트, LG유플러스는 AI 보안 기술에 집중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협력도 선언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통신사들과 AI 연명인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 국내 AI 연맹인 ‘K-AI 얼라이언스’와 AIDC와 AI 에이전트 강화를 중심으로 글로벌 협력 확대를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구글과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익시오(ixi-O)’를,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 AI 수익 방안 찾는 각사 대표들
MWC 개막과 함께 각 사 대표들은 협력사와 경쟁을 오가며 분주히 움직였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개막 당일 아랍에미리트 통신사 이앤(e&) 전시관을 방문해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 총회를 주재했다. SKT를 포함한 도이체텔레콤, 소프트뱅크 등 7개 회원사는 AI 협력 강화를 논의하며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에 힘썼다. 이후 유 대표는 삼성전자 부스로 이동해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과 만나 XR(확장현실) 기기와 온디바이스 AI 관련 협력 방안을 찾았다. 유 대표가 “XR에 통신칩이 내장됐나요”라는 질문을 했고 이를 노 사장이 긍정적으로 답하며 양사 간 협업 기대감을 높였다.
김영섭 KT 대표는 GSMA의 개막 기조연설 참관 후 주요 통신사 및 협력사 부스를 돌며 네트워크와 AI 기술 트렌드를 점검했다. 삼성전자 부스에서는 “갤럭시 워치 헬스케어 기능을 저도 쓰고 있다”며 개인적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홍범식 LG유플러스 대표는 자사 첫 단독 전시관을 중심으로 기술 세일즈에 집중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LG유플러스 부스를 방문해 “너무 잘해놨다”며 격려하자 홍 대표는 AI 보안과 데이터센터 기술로 민관 협력을 강조했다. 이후 구글 클라우드와 만나 AI 모델 ‘제미나이(Gemini)’와 자사 AI 서비스 ‘익시오’ 기능을 확대하는 협력을 맺었다.
◇ SKT, AIDC로 수익화... 기업용 AI 에이전트도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AI DC)를 중심으로 한 ‘AI 피라미드 2.0’ AI 수익화 전략을 공개했다. 유영상 대표는 “AI DC 토털 솔루션으로 B2B·B2C 사업을 고도화해 실질적인 매출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SKT 부스 메인에는 검정 서버 랙 디자인과 기계음으로 데이터센터를 연상케 하는 미디어 아트가 전시됐다. 부스 AIDC 존에는 전력 제어, 액체 냉각, GPU 자원 관리 등 기술이 전시됐다.
SKT는 AI DC 사업을 4대 모델(△구독형 AI 클라우드 GPUaaS 서비스 △소규모 모듈러(Modular) AI DC △단일 고객 전용(Dedicated)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로 세분화해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하이퍼스케일은 GPU 6만 장 규모의 대형 DC로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하며, 모듈러는 국내 교육 그룹 엘리스와 협력해 3개월 내 구축 가능한 컨테이너형으로 비용 효율성을 앞세웠다. 전용 DC는 공공기관 등 보안이 중요한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되며, GPUaaS는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접근성을 높였다. 유 대표는 “SK그룹 137MW 데이터센터 운영 역량과 SK하이닉스 HBM 등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DC를 구축하겠다”고 자신했다.
AI 에이전트 분야에서는 국내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에이닷’을 고도화하고 연내 기업용 ‘에이닷 비즈’를 출시해 B2B 시장을 공략한다. 에이닷은 통화 요약 기능을 넘어 문서·인맥 관리로 확장되며 MAU 1200만 명을 목표로 한다. 북미 시장을 겨냥한 해외 AI 에이전트 ‘에스터’도 GTAA 협력을 통해 글로벌 확대를 모색한다.
◇ LG유플러스, ‘안심 지능’ 강조… 구글과 ‘익시오’ 고도화
LG유플러스는 첫 단독 전시관에서 ‘안심 지능(Assured Intelligence)’ 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워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AI 기술을 내세웠다. 홍범식 대표는 “고객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AI로 밝은 세상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핵심 기술로는 ‘안티 딥보이스’가 주목받았다. AI가 통화 목소리를 분석해 사람인지 AI인지 구분해 알려주는 서비스로 딥보이스 피해 방지를 위해 만들어졌다. 부스에서 관람객들은 본인 목소리 녹음을 통해 이를 체험할 수 있다. 아울러 개인 정보가 서버에 남지 않고 단말기만 저장되는 ‘온디바이스 sLM’, 대화 내용이 유출되더라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양자암호 기반 개인정보보안’ 기술을 소개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MWC에서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을 밝혔다. 구글 AI 모델 ‘제미나이(Gemini)’를 활용해 AI 에이전트 ‘익시오; 기능을 확대한다. 통화 맥락 분석, 내용 요약, 행동 제안 기능을 고도화 한다. 구글클라우드 ‘버텍스 AI(Vertex AI)’ 서비스로 통화 관련 검색 서비스를 도입한다. 검색 품질 강화를 위해 ‘구글 검색으로 그라운딩(Grounding with Google Search)’ 기능도 젖극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통화 녹음·요약, 보이스 피싱 방지 등 기존 서비스를 넘어 ‘액셔너블 AI(Actionable AI)’로 진화를 목표로 한다. 구글은 LG유플러스 AX(AI Transformation) 전략을 지원한다. 홈, 디지털 채널, 업무 방식에 AI 도입을 검토, 협력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AI DC 분야에서는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 등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력 개발한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을 공개해 경쟁력을 알렸다. 액체냉각 솔루션은 데이터센터에 설치된 서버에서 발생하는 열을 물이나 비전도성 액체를 통해 효율적으로 식히는 기술이다. 솔루션은 100kW 이상의 고집적 랙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모듈식 설계를 통해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 냉각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대 90%까지 절감해 탄소 배출을 저감한다.
◇ KT, MS와 협업한 기업용 AI 에이전트 공개
KT는 MWC에서 한국 문화를 접목한 ‘K오피스’와 ‘K스트리트’ 부스를 통해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을 기반으로 ‘GPU 할당’ 에이전트, ‘고객센터 상담사 지원’, ‘탄소 공시’ 에이전트, ‘통신시장 경쟁분석’ 에이전트 에이전트 등 4종을 공개해 B2B 시장을 겨냥했다. 김영섭 대표는 “AI와 6G 기술로 통신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GPU 할당 에이전트는 실시간 자원 관리로 GPU 활용률을 20% 향상한다. 고객센터 지원 에이전트는 상담 기록 요약과 지식 추천으로 처리 속도를 단축했다. ‘탄소 공시 에이전트’는 배출량 분석 작업을 50% 이상 줄였다. 통신시장 경쟁분석 에이전트는 무선 통신 시장 데이터를 학습한 에이전트가 분석한 여러 시각 자료를 보여주며 질의응답을 할 수 있다.
아울러 KT는 6세대 이동통신(6G) 분야에서 위성·양자·AI 네트워크를 핵심 기술로 제시했다. 6G는 위성, AI, 클라우드 등 기술을 토대로 발전할 기술이다. 양자 보안을 위해서는 고속 암호키 제공도 중요하다. KT는 양자 암호 통신 속도를 150kbps까지 끌어 올린 점을 강조했다. 부스 K-랩에서는 재해 복구 기술과 양자통신 기술, 멀티모달 통화 서비스 등 미래 네트워크 기술도 공개했다.
KT는 국내 3사 통신사 중 먼저 WiFi 7 공유기 ‘KT WiFi 7D’를 이번 MWC에서 공개했다. 네트워크 경쟁력을 강조했다. 2.8Gbps(초당 기가비트) 속도다. 와이파이 2개 주파수(2.4GHz, 5GHz)를 동시 연결하는 다중 멀티 링크 기술로 데이터 지연을 최소화해 AI 관련 고부하 작업을 원활히 지원한다. 최신 보안 표준인 ‘WPA3’로 안정성도 강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