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는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대화창에서 챗GPT와 함께 대화할 수 있는 ‘그룹 채팅’ 기능을 한국에 시범 도입했다고 14일 밝혔다. 친구나 가족, 동료를 초대해 함께 계획을 세우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협업 방식이다.
오픈AI에 따르면, 이번 그룹 채팅 기능은 한국과 함께 일본, 뉴질랜드, 대만 등 4개국에 먼저 도입됐다. 챗GPT를 개인 비서가 아닌 공유 협업 공간으로 확장하는 첫 시도다.
그룹 채팅의 활용 범위는 다양하다. 친구들과 주말 여행을 준비할 때 챗GPT에게 여행지 비교나 일정표 작성, 준비물 체크리스트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모두가 같은 대화창에서 내용을 확인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다. 식당 선택이나 가벼운 논쟁 정리에도 활용할 수 있고, 공동으로 기사나 메모를 공유하면 챗GPT가 정보를 요약·정리해준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새 대화 또는 기존 대화 화면 오른쪽 상단의 사람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다른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최대 20명까지 참여 가능하며, 채팅 링크를 통해 누구나 쉽게 초대하거나 참여할 수 있다.
그룹 채팅 내 챗GPT 응답은 GPT-5.1 오토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요금제별 사용량 제한은 챗GPT 응답에만 적용되고, 사용자 간 메시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새로운 소셜 기능도 눈에 띈다. 챗GPT는 대화 흐름을 파악해 언제 응답할지, 언제 조용히 있을지를 스스로 판단한다. 답변이 필요할 때는 ‘챗GPT’라고 언급하면 된다. 채팅 메시지에 이모지 반응을 남기는 것도 가능하다. 개인화 이미지를 요청하면 대화 참여자들의 프로필 사진을 활용해 생성할 수도 있다. 각 그룹 채팅마다 챗GPT의 응답 방식을 정의하는 커스텀 지침 설정도 지원된다.
안전장치도 마련됐다. 그룹 채팅은 개인 대화와 완전히 분리돼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ChatGPT 메모리가 다른 사람들과 공유되지 않는다. 18세 미만 사용자가 참여할 경우 ChatGPT는 자동으로 민감한 콘텐츠 노출을 줄인다. 부모나 보호자는 부모 통제 기능을 통해 그룹 채팅 기능 자체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 대표는 “그룹 채팅 기능은 ChatGPT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협업하고 소통하는 공유 공간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라며 “한국을 포함한 초기 시범 운영 국가의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