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UNIST, 영상 복원 AI 개발… “저품질 영상 해상도·프레임 개선”

UNIST, 영상 복원 AI 개발… “저품질 영상 해상도·프레임 개선”

  • 기자명 구아현 기자
  • 입력 2025.06.24 16:22
  • 수정 2025.06.24 16:3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 유재준 UNIST 교수, 김은진 연구원, 김현진 연구원. /UNIST
(왼쪽부터) 유재준 UNIST 교수, 김은진 연구원, 김현진 연구원. /UNIST

흐릿하고 끊기는 영상을 또렷하고 매끄럽게 복원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유재준 인공지능대학원 교수팀이 영상 해상도와 프레임을 동시에 개선하는 AI 모델 ‘BF-STVSR(Bidirectional Flow-based Spatio-Temporal Video Super-Resolution)’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해상도와 프레임 수는 영상 품질을 결정짓는 요소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이 선명하고 디테일이 뚜렷해지며 프레임 수가 많을수록 매끄럽다.

기존 AI 영상 복원 기술은 해상도와 프레임을 따로 처리하고 프레임 보강은 미리 학습된 옵티컬 플로우 예측 네트워크에 의존했다. 하지만 이러한 옵티컬 플로우는 사물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계산해 중간 장면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연산이 복잡하고 오차가 쌓이기 쉬워 영상 복원 속도와 품질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BF-STVSR’은 비디오 특성에 적합한 신호 처리 기법을 도입해, 외부 옵티컬 플로우 예측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프레임 간의 양방향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한다. 이를 통해사물의 윤곽 등을 함께 추론함으로써 해상도와 프레임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이 AI 모델을 저해상도·저프레임 영상에 적용한 결과 기존 모델보다 PSNR, SSIM 등 품질 지표에서 더 우수한 성능이 나타났다. 이는 움직임이 많은 영상에서도 인물의 외형이 깨지거나 왜곡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복원됐다는 의미다.

유재준 UNIST 교수는 “이번 기술은 저사양 장비로 촬영된 CCTV나 블랙박스 영상뿐 아니라, 전송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된 스트리밍 영상도 빠르게 고품질로 복원할 수 있다”며 “미디어 콘텐츠 제작, 의료 영상 분석, VR 기술 등 분야에 전방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내슈빌에서 열린 컴퓨터 비전 분야 학회인 ‘2025 CVPR’(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에서 공개됐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