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인공지능(AI) 인프라에 5000억 원을 투자하고 AI 인재를 1만 명 양성, AI허브 규모를 10배 확장한 ‘AI 테크시티’를 양재 AI 혁신지구에 조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AI 7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오세훈 시장은 11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AI 서울 2025’ 콘퍼런스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7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오세훈 시장은 “미국 빅테크 중심의 AI 패권 싸움에서 딥시크가 희망이 되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세계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서울시를 글로벌 AI 혁신도시로 만들 것 ”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 시장은 직접 무대에 올라 △인재양성 △인프라 조성 △투자 확대 △산업간 융복합 △글로벌화 △시민확산 △행정혁신 등 7대 전략 과제를 발표했다.
인재양성 분야에서 서울시는 연간 1만 명의 AI 인재를 양성한다. 청년취업사관학교에서 연 4000명을 양성하고 대학에서 연 6000명을 양성한다. 대학에서는 캠퍼스 타운, 지혁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연계, AI 학과 신증설에서 각각 2000명씩 양성한다. 이공계 분야 석사과정 장학금 제도도 신설해 총 6억 원, 60명을 지원한다.
현재 AI 허브(2만2000㎡)보다 규모를 10배 확장한 ‘서울 AI 테크시티(25만㎡)’를 양재 혁신지구에 조성한다. 오는 2028년 착공 목포다. 국내·외 대학원과 세계적인 연구기관 등과 연구 할 수 있도록 산학연 플랫폼을 만들고 기업 입주를 가능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또 문화·주거 공간까지 갖춘 주거문화복합 시설을 갖춘다.
그래픽 처리장치(GPU) 등 AI 인프라에 5000억원을 투자한다. 그는 “구축하고 있는 2030 펀드에서 AI 펀드를 신설해 GPU 인프라 지원 규모를 확대한다”며 “부족하지만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 간 융복합을 위해 기존 서울시의 첨단 산업을 AI 중심 융복합 산업구조 재편한다. 서울의 4대 미래 핵심산업인 AI, 바이오, 로봇을 비롯해 뷰티·패션 산업과 AI 융복합 산업 거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은 이미 양재, 홍릉, 수서, 여의도 거점을 조성해 AI, 바이오, 로봇, 핀테크 산업을 지원해 왔다”며 “서울에 강점이 있는 뷰티, 패션 등 전략산업과 AI 기술 융합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해외 유수 연구소와 협력도 강화한다. 서울시는 그동안 캐나다 밀라 AI 연구소와 파트너십을 통해 협력을 강화해 왔다. 오픈AI, MS,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캐나다 밀라 연구소, 독일 사이버벨리, 독일 최대 응용과학 연구기관 프라운호퍼, 인도 델리공과대 등과 협력해 공동 연구를 지원하고 글로벌 AI 연구소 기업 유치를 추진해 AI 혁신기술 개발을 도모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오 시장은 AI가 일상에 스며들 수 있도록 AI 접목 행정 혁신과 AI 대중화를 위한 시민 참여를 행사를 정례화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AI 페스타’를 열고 스마트라이프워크(SLW) 2025‘ 규모를 확대한다. 서울 AI 페스타는 AI 기술의 엉뚱하고 흥미로운 요소를 조명해 시민들의 관심을 끌 예정이다. 스마트라이프워크 2025는 글로벌 혁신 박람회로 AI 비중을 대폭 확대한다. 200개 도시 3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날 오 시장은 AI 비전 발표 이후 제리 카플란 미국 스탠포드 교수와,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과 함께한 ’생성형‘ AI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 대담에서 미래 서울시 모습에 대해 “모든 영역에 AI가 자연스럽게 활용될 것”이라며 “2~3년 이내에 스마트 시티 모습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돌봄 로봇, AI CCTV, AI 활용 디지털 성범죄 삭제 지원 등에 이미 AI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로 인한 일자리 변화에 대해 그는 “일자리 성격이 바뀌는 것이지 일자리 숫자가 바뀌는 것이 아니다라는 제리 카플란 교수 말에 동감한다”며 “최첨단 기술 변화로 인한 일자리 변화에 대비해 재교육 투자를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