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가 2025년 새해 인공지능(AI) 분야 깊은 지식과 넓은 시각을 지닌 새로운 오피니언을 맞이합니다. AI 분야 전문가 43명이 합류해 정책부터 트렌드, 기술·윤리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AI 정책·법 전문가들이 나섭니다. 국내 AI·디지털 정책을 깊이 이해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차인혁 GIST 정책대학원 교수가 국내 AI 정책에 대해 통찰력 있는 글을 전합니다. 지난해 11월에 설립된 AI안전연구소(AISI) 초대 소장을 맡고 있는 김명주 서울여자대 교수는 프랑스 파리에서 2월 10일 열리는 ‘AI 행동 정상회의(AI Action Summit)’에 다녀와 국제 AI 거버넌스 논의 내용에 대해 전합니다. 임용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AI 시대의 경쟁 정책에 대해 제언합니다.
고인선·오정익 법무법인원 변호사와 최경진 가천대 교수 겸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은 국내외 AI 법·제도를 평가·비교 국내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안(AI 기본법)’에 대한 해법을 찾습니다.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원장이 공교육 도입 갈등을 겪고 있는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논합니다.
국내 AI 인재 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대학이 참여합니다. 고려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아주대, 중앙대, KAIST(한국과학기술원), GIST(광주과학기술원), 포항공대. 한양대 등 인공지능·인공지능융합대학원 교수들이 깊은 AI 지식을 전합니다. 삼성리서치 부사장을 지낸 김찬우 고려대 인공지능학과 교수는 음성인식에 대해 최신 트렌드와 연구를 공유합니다. 송길태 부산대 AI융합대학원장은 AI·바이오 융합 분야 연구와 교육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강유 서울대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주임교수는 온디바이스 AI, sLLM 등 경량화 모델 연구에 대해 전합니다.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 최영준 아주대 AI융합대학원장, 이재성 중앙대 AI융합대학원 교수, 노영균 한양대 AI대학원장, 서영주 포항공대 AI대학원장은 AI 연구 흐름과 교육 트렌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신진우·김기응 KAIST김재철AI대학원 교수는 머신러닝 분야 전문적인 지식과 글로벌 연구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김종원 GIST AI대학원장은 AI 시스템 인프라에 대해 소개합니다.
AI 산업 중심에 있는 전문가들의 칼럼도 이어집니다. 안동욱 미소정보기술 대표가 AI·데이터 분야 기술과 변화를 전합니다. 천영석 트위니 대표가 자율주행 기술과 시장에 대해 분석하고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가 비전 AI 기술에 대해 소개합니다. 장하영 써로마인드 대표가 AI 모델에 대해 논하고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가 기계학습에 대해 소개합니다. 박규병 튜닙 대표가 언어모델에 대해 소개하고 박근태 S2W CTO가 AI 분야 보안 기술에 대해 공유합니다.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가 AI 신뢰성에 대해 논하고 신해동 패스트캠퍼스 대표가 글로벌 성인 AI 교육 시장 현황에 대해 전합니다.
독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 제조, 국방, 의료, 예술 등 AI 융합 산업 분야 흥미로운 이야기도 전합니다. 박은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교수 겸 AI문화경영연구소장은 아트(Art) AI 분야 융합 사례를 소개합니다.
애그테크(AgTech) 분야에서는 강대현 팜에이트 대표가 AI 기반 생산성 예측 등 스마트팜 분야 실질적인 AI 기술에 대해 전합니다. 성제훈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이 농업과 AI에 만남에 대해 안내합니다. 최준기 대동 에이아이랩 대표는 농업 AI 로봇에 대해 소개합니다.
국방 AI 기술과 논의도 이어집니다. 전태균 에스아이에이 대표, 곽기호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인공지능기술연구원장,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 이사장, 서승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유재관 LIG넥스원 무인체계연구소장이 국방 AI 경쟁력 강화와 기술에 대해 논합니다.
제조 AI에서는 윤일용 포스코 DX AI기술센터장이 제조 현장의 변화를 안내합니다. 이상헌 휴니버스 대표는 의료 분야 AI 기술로 인한 변화를 소개합니다. 이상완 KAIST 교수 겸 뇌공학과센터장이 인간의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정보를 처리하는 BCI(Brian-Computer Interface) 기술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AI 신뢰도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김봉제 서울교대 교수 AI 가치판단에 대해 강조하고 이청호 상명대 교수 AI 신뢰성에 대해 논합니다. 고병철 계명대 교수가 신뢰할 수 있는 AI로 데이터 중심 개발에 대해 이야기하고 공득조 GIST 교수는 AI 시대 윤리에 대해 강조합니다. 권종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산업지능화기술센터장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AI 검증 기술을 소개합니다.
[THE AI 2025 칼럼진(가나다순)]
△강대현 팜에이트 대표 △강유 서울대 협동과정 인공지능전공 주임교수 △고병철 계명대 교수 △고인선 법무법인원 변호사 △곽기호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인공지능기술연구원장 △권종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산업지능화기술센터장 △김기응 KAIST김재철AI대학원 교수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 △김봉제 서울교대 교수 △김명주 서울여자대 교수 겸 AI안전연구소장 △김종원 GIST AI대학원장 △김찬우 고려대 인공지능학과 교수 △노영균 한양대 AI대학원장 △박규병 튜닙 대표 △박근태 S2W CTO △박영욱 한국국방기술학회 이사장 △박은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교수 겸 AI문화경영연구소장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 △서승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서영주 포항공대 AI대학원장 △성제훈 경기도농업기술원장 △송길태 부산대 AI융합대학원장 △신진우 KAIST김재철AI대학원 교수 △신해동 패스트캠퍼스 대표 △안동욱 미소정보기술 대표 △오정익 법무법인 변호사 △이강현 성균관대 AI대학원장 △이재성 중앙대 AI융합대학원 교수 △이청호 상명대 교수 △유재관 LIG넥스원 무인체계연구소장 △윤일용 포스코 DX AI기술센터장 △이상완 KAIST 교수 겸 뇌공학과센터장 △이상헌 휴니버스 대표 △이재성 중앙대 AI융합대학원 교수 △이지형 성균관대 AI대학원장 △이청호 상명대 교수 △임용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장하영 써로마인드 대표 △전태균 에스아이에이 대표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원장 △차인혁 GIST 정책대학원 교수 △천영석 트위니 대표 △최경진 가천대 교수 겸 한국인공지능법학회 회장 △최영준 아주대 AI융합대학원장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 △최준기 대동 에이아이랩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