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애플도 대만에 데이터센터 설립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만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국가로 급부상하고 있다.
애플이 대만 북부 지역에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해 4조3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이 25일 보도했다.
데이터센터는 서버 컴퓨터에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로, AI와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 신기술의 기반이 되는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한다. AWS와 구글, MS에 이어 애플도 대만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아시아에서 AI 국가로 대만이 주목받고 있다. 애플은 데이터센터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을 연말 이전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엔비디아는 최근 대만에 두번째 AI 슈퍼컴퓨터센터 설립 계획을 내놓은 상태다. 이에 현지 언론은 애플이 엔비디아를 견제하기 위해 대만에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예전부터 애플은 데이터센터 서버를 통해 AI 소프트웨어를 연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업체인 대만 TSMC와 함께 개발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들 외에도 AWS는 데이터센터 설립 등에 향후 15년간 수 십억 달러를 대만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구글은 데이터센터용으로 이미 400억 대만 달러(약 1조7천100억 원)를 투자했다. 이에 중국시보는 "대만 출신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전진기지로 대만을 부각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몰리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최근 구글·MS·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AI 시대 데이터센터 신설과 증설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또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국 정부도 데이터센터 유치에 힘을 쏟고 있다.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이 대표적인 예다. 대만도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적극적이고 일관된 정책을 펼치면서 빅테크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앞서 대만은 2010년 9월 첨단 제조업 기반 위에 AI와 사물인터넷(IoT) 등 신기술 역량을 융합시키겠다는 전략으로 '아시아 실리콘밸리 육성 계획'을 발표했다. 1년 뒤 구글은 대만 장화현에 아시아 최초로 데이터센터 설립을 선언하고 2년에 걸쳐 6억 달러(약 7천800억 원)를 들여 완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