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UNIST “AI·로봇이 하루 1000번 화학실험”

UNIST “AI·로봇이 하루 1000번 화학실험”

  • 기자명 구아현 기자
  • 입력 2025.09.25 10:47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화 실험 플랫폼 개발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UN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 /UNIST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UN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 /UNIST

인공지능(AI)과 로봇으로 수천 가지 화학 반응 조건을 동시에 실험해 새로운 화학 합성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UNIST는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화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인공지능 및 로봇 기반 합성 연구단장) 연구이 빠르고 정밀하게 화학 합성물을 실험・생성하는 AI・로봇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AI과 로봇을 결합해 수천 가지 화학 반응 조건을 동시에 실험하는 한편, 그 결과를 정밀한 지도로 그려내고 원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

화학 반응은 ‘A와 B가 반응해 C를 만든다’처럼 단순한 한줄 방정식으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 화학 반응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그 양이나 온도를 조금만 바꾸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여러 경로의 복잡한 네트워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연구팀은 약 1000회의 화학 실험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AI・로봇 플랫폼을 자체 제작・활용해 실험 데이터를 축적・분석함으로 복잡한 네트워크 형태의 화학 반응 과정을 정밀한 지도로 그려냈다. 화학 반응이 어떤 길을 따라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 시각화하고 특정 조건에서 나타나는 숨은 화학 반응 경로까지 발견했다.

나아가 동일한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반응 조건을 달리하면 전혀 다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생성 물질까지 밝혀냈다.

연구진은 150년 전에 처음 보고되고 항생제, 항암제 등 다양한 의약품 제조에 활용되는 ‘한츠슈 피리딘 합성 반응’을 이번 플랫폼으로 정밀하게 지도화하고 전체 반응 네트워크를 재구성했다. 이를 통해 이미 알려진 기존의 7종의 생성물 외에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9개의 새로운 중간체 및 생성물을 추가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오랜 기간 연구돼 온 고전적 화학 반응에서 조차 여전히 풀어야 할 미지의 경로를 품고 있음을 밝혀냄으로 그간 알지 못한 화학 반응에 대한 이해의 폭을 한층 넓히고, 화학 합성의 효율성과 정밀성을 높이는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에 25일 게재됐다.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그쥐보브스키 UNIST 교수는 “화학 반응을 직선이 아닌 네트워크 형태로 바라보는 것은 앞으로의 화학 연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AI와 로봇 활용을 통해 화학 합성의 효율성과 다양성을 크게 높이고 미래 신약 개발과 소재 혁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