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패스트파이브, ‘개인화 공간·모듈형 오피스’ 5대 트렌드 발표

패스트파이브, ‘개인화 공간·모듈형 오피스’ 5대 트렌드 발표

  • 기자명 유덕규 기자
  • 입력 2025.07.03 16:29
  • 수정 2025.07.03 16:3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간 2만6000여 기업 데이터 분석

/패스트파이브
/패스트파이브

공유오피스 업체 패스트파이브는 ‘2025 사무 환경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10년간 2만6천여 기업의 오피스를 설계·운영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패스트파이브는 보고서에서 △개인화 공간과 수평형 건축 '그라운드 스크래퍼' △조직문화 반영 복지 공간 △모듈형 오피스 △자원 재활용 중심의 친환경 공간 설계 △바이오필릭 디자인 등 5가지를 핵심 트렌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직장인들은 1인용 테이블, 폰부스 등 몰입이 가능한 개인 업무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에서는 개방감을 높이는 수평형 건축이 오피스 디자인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패스트파이브는 이에 대응해 집중을 위한 포커싱 존과 협업을 위한 페어링 존을 함께 구성하는 방식으로 개인화와 개방성의 조화를 실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초 3호점은 개인화 공간과 오픈된 라운지를 길게 이어지도록 구성한 사례로 제시됐다.

이어 탕비실, 수면실을 넘어 북카페, 샤워실 등 기업 특화 복지 공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러한 복지 공간 확충은 중소기업에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복지 시설이 잘 갖춰진 공유오피스를 활용하는 방식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출장이 잦은 멤버사가 많은 서울역점에는 샤워실을 구성했고, 인테리어 브랜드 하이픈디자인은 고객사 임직원을 위한 루프탑 바비큐장을 조성했다.

변화하는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TF팀 신설, 조직개편 등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모듈형 오피스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패스트파이브는 공사 없이 설치·철거 가능한 모듈형 벽체를 도입해 유연한 공간 구성과 소음 절감 효과를 동시에 구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오피스 트렌드는 신소재보다 폐자재 재활용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사무용품, 커피찌꺼기를 활용한 안내판 등 친환경 아이디어도 마곡나루점을 시작으로 적용하고 있다.

식물 등 자연 요소를 사무공간에 반영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직원의 심리 안정과 몰입도 향상에 기여한다고 분석했다. 패스트파이브 압구정점은 제로 에너지 건축물 승인을 받은 사례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극 적용했다.

현재 패스트파이브는 국내 최대 규모인 56개 오피스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IT 설비, 사무가구, 복합기, 청소·총무 인력까지 포함한 통합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해 고정비 부담을 낮추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대일 패스트파이브 대표는 “사무 환경은 이제 단순한 복지를 넘어 기업의 몰입과 생산성, 경쟁력을 좌우하는 전략 자산”이라며 “지난 10년간 2만6000여 기업과 함께 쌓아온 오피스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오피스의 기준을 제시하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