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대가 다시 오고 있다. 트럼프는 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47대 대통령으로 취임한다. 그의 재집권은 한국에 기회와 위기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 그중 배터리 업계는 기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강하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무역 제재 수위를 높여감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수익 확보 활로가 커질 수 있어서다.
13일 한국무역협회가 발표한 ‘2025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험난한 風波, S.T.O.R.M.에 대비하라!’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수출입 통제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중국을 상대로 수출 통제와 관세가 올라갈 것으로 분석된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 운동 기간 중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20% 수준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수입품에 대해서는 60%의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 공언한 바 있다. 또한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우회 수출 루트로 꼽히는 멕시코에 대해 25%의 관세 도입도 예고했다.
중국 또한 배터리 양극재 제조 기술과 리튬 추출 및 공정 기술 등을 ‘수출 금지 및 제한 기술 목록‘에 포함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중국 수출 금지 및 제한 기술 목록에는 LFP배터리 기술, 리튬인산망간철(LMFP)배터리 기술, LFP배터리 소재, 비철금속 제련 및 압연 가공 기술 등이 포함됐다. 소재·배터리 생산 기술 이전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장의 수급에는 문제가 없겠지만, 중국 기술을 사용하는 업체들은 활용이 어려워질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엔 이 규제가 기회가 될 전망이다. 국내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무역 제재의 수위를 높이는 사이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 현지내 생산 거점을 구축했다. 이 때문에 규제 대응에 가장 유리하다는 입장이다.
미국 입장에선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탈중국 공급망 구축의 대안이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이번 미중 무역 갈등이 국내 업체들에겐 반사적 이익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배터리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중국의 수출 규제 품목에 포함되는 배터리는 LFP배터리와 LMFP배터리”라며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주력 품종인 다원계 배터리가 아니라는 점에서 영향은 적고 반사적 수혜는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은 중장기적으로 국내 배터리업체들에게 수혜가 올 것”이라며 “중국이 주춤한 사이 국내 업체들도 다원계 배터리 외에도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LFP 배터리의 기술을 확보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