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5-11-26 07:49 (수)
실시간
KAIST, 반도체·화학·전산 초세대 협업연구실 개소

KAIST, 반도체·화학·전산 초세대 협업연구실 개소

  • 기자명 구아현 기자
  • 입력 2025.01.07 15:1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 등

7일 오전 KAIST는 ‘초세대 협업연구실’ 현판식을 각 연구실에서 진행했다. 유회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운데), 이광형 KAIST 총장(왼쪽 두 번째). /KAIST
7일 오전 KAIST는 ‘초세대 협업연구실’ 현판식을 각 연구실에서 진행했다. 유회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가운데), 이광형 KAIST 총장(왼쪽 두 번째). /KAIST

KAIST가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 등 ‘초세대 협업연구실’ 3곳을 추가 개소하고 7일 오전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 ‘분자분광학 및 화학동역학 연구실’,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이 새롭게 문을 연다. 

초세대 협업연구실은 은퇴를 앞둔 교수가 오랜 시간 축적해 온 학문의 성과와 노하우를 후배 교수와 협업하며 이어가는 KAIST의 독자적인 연구 제도다. 2018년 도입한 이후 지난해 말까지 9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추가 개소로 총 12개의 초세대 협업연구실을 보유하게 됐다.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시스템 연구실’은 유회준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고 같은 학과 김주영 교수가 참여해 운영할 예정이다. 유회준 책임교수는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분야의 탁월한 연구 업적을 보유한 석학이다. 김주영 참여교수는 거대 언어 모델과 서버용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를 연구하는 신진 연구자로서 AI 반도체 분야의 핵심기술인 PIM(Processing-in-Memory) 설계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심층 신경망 및 생성형AI 등 뇌 모방 AI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차세대 AI반도체 설계기술을 체계적으로 협업 및 전수를 통해 핵심기술을 집대성하고, 연구개발 산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해 국내 AI반도체 회사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화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 목표다. 유회준 교수는 “협업연구를 통해 국내외 AI반도체분야의 차세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전수 및 확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분자분광학 및 화학동역학 연구실’은 김상규 화학과 교수가 책임교수를 맡고, 같은 학과 김태규 교수가 참여한다. 추후 분광학 및 동역학 분야 신임 교수가 합류해 운영하게 된다. 김상규 책임교수는 극초단 레이저와 초음속 분자선에 기반한 독창적 실험 장비를 자체 개발하는 독보적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실험 물리화학의 새로운 분야를 창의적으로 개척해 오고 있다. 연구목표는 화학반응을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개념을 검증함과 동시에 새로운 이론 및 기술을 도입함으로 화학반응 원리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수반되는 기초과학 지식을 신물질 설계에 응용하고자 한다. 김상규 교수는 “이러한 제도를 통해 후속 세대에게 연구 인프라를 전수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세대를 뛰어넘는 협업 연구를 통해 다욱 세계적인 연구실로 성장하겠다” 라고 소감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문수복 전산학부 책임교수가 맡은 ‘첨단 데이터 컴퓨팅 연구실’은 같은 학과 차미영 교수와 이원재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참여한다. 문수복 책임교수는 대용량 데이터 기반 소셜 네트워크 연구의 무한 가능성을 싸이월드, 유튜브, 그리고 트위터를 통해 보여주었고, 전산학 분야를 뛰어넘어 관련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다. 차미영 교수는 허위 정보, 빈곤, 재난 탐지 등 어려운 사회문제를 빅데이터 기반 AI를 활용해 분석하는 데이터 과학자로서 업적을 인정받아 한국인 최초 세계적인 기초과학연구소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단장으로 재직 중에 있다. 이원재 교수는 구조적 토픽 모델을 활용한 과학 및 기술 간의 동적 상호작용 분석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은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높이고, 특히 감정과 도덕을 활용한 혐오 전조 탐지 모델을 개발해 혐오 표현 사전 차단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문수복 교수는 “본 협업연구실을 통해 AI 시대에서 예상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협업연구를 심층적으로 해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핵심적인 역할을 다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