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한 주간 주요 인공지능(AI) 동향을 THE AI가 정리해 드립니다. [AI 주간브리핑]을 보시며 주요 AI 이슈를 만나보세요. 본문 내 제목을 클릭하면 자세한 기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이 확산하면서 이제 올바른 AI 정착에 관한 중요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AI가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만큼, 안전하면서도 사회적으로 부작용이 크지 않게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인데요. AI 확산으로 일자리 감소, 직업 대체, 사회적 격차 등 예상되는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겁니다.
유럽연합(EU)은 AI 규제법을 시행키로 하며 AI 정착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AI 기술을 위험 수준에 따라 4단계로 나누고 공급사들이 AI 기술을 유럽에 공급할 때 각 위험 수준에 따른 규제법을 따르게 했습니다.
한국도 AI 정착을 위해 여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국회에 여러 AI 법이 발의돼있고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방법론 등을 만들고 있죠. 그렇다면, AI 전문가들은 한국이 AI 발전을 위해 어떤 점이 필요하다고 얘기할까요?
AI 발전, 성공 사례가 만든다
AI와 법, 윤리 전문가들은 당장 AI 법을 내놓는 건 좋지 않다고 한목소리로 주장했습니다. 법보단 AI 확산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는 데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했죠. 그 의견에는 단순히 AI나 법 전문가뿐 아니라 각 산업 분야 전문가들도 참여해야 하고 단순히 한두 번 의견을 청취하는 것보단 지속 토론에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또한 올바른 AI 정착을 위해선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는 게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공공 등의 분야에 AI의 올바른 활용 사례를 만들어가면 국민 공감도도 높이고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고 했습니다.
AI 성공 사례는 각 산업 영역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국내 AI 기업들은 각 산업 도메인 영역에서 AI 도입과 지원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제조 분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마키나락스는 국내 제조 분야 AI를 지원하고 도입이 어려운 기업을 직접 도우며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었는데요.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AI 시대에 로봇이 빠질 수 없죠. 현재 로봇은 물류센터, 쇼핑센터, 식당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존재가 됐는데요. 로봇에서도 기술력을 토대로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는 기업이 있었습니다. 트위니입니다. 트위니는 로봇 중에서 자율주행 기술만큼은 세계 최고를 자신했는데요. 트위니 로봇이 길을 잘 찾는 이유를 천영석 대표에게 물어봤습니다.
허성욱 NIPA 원장 “병원 중심 의료 AI, 이제 바꾸겠다”
AI는 의료 분야에서 여러 성공 사례가 나왔습니다. 환자의 의료영상을 분석해 각종 암을 판독하는 의료 소프트웨어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요양급여심사지원시스템 간편화, 코로나19와 같은 신규감염병 예후 예측 AI 솔루션 등 의료 분야 AI 기술을 많이 활성화됐는데요. 그 뒤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역할이 컸습니다. 허성욱 NIPA 원장은 여기서 더 나아가 국내 AI 기업들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는데요. “앞으로는 병원 중심의 의료 AI 사업이 아닌, 기업이 중심이 될 수 있는 사업을 확장해나가도록 하겠다”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인공지능중심도시에서 멀어진 광주
AI 확산과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한편에선 좋지 않은 소식도 들립니다. 인공지능 중심도시를 전면으로 내세웠던 광주광역시는 AI 지원 사업을 줄이면서 AI와 거리를 두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시가 자랑했던 AI 집적단지 사업도 중단 위기에 처했는데요. 관련 내용을 THE AI가 단독 보도했습니다.
엔비디아, GTC에서 새 GPU 발표
이번 주에는 AI 업계가 주목한 행사가 있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행사인 GTC인데요. GTC에서는 매년 엔비디아가 새로운 기술을 발표해 큰 관심을 이끌었죠. 올해에는 블랙웰이라는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 ‘브랙웰’을 공개했습니다. 2년 전 발표된 엔비디아 호퍼(Hopper) 아키텍처의 후속 기술인데요. 이를 기반으로 만든 GB200의 경우 현재 최고 성능으로 알려진 GPU인 H100 대비 최대 30배 높은 LLM 추론 성능 향상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엔비디아가 정말 앞서가네요.
AI 도입에도 성공방정식이 있다?!
그렇다면, AI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선 어떤 것을 준비해야 할까요? 글로벌 기업인 세일즈포스는 기업들의 성공을 돕기 위해 ‘AI 성공방정식’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과연 이 성공방정은 무엇인지, THE AI가 취재해보았습니다.
인텔리빅스는 공공 분야 AI 확산을 위한 AI통합관제시스템 AMS(AI Monitoring System)를 공개했습니다. 비전 AI 분야 강자인 만큼, 전국의 CCTV를 AI 기반으로 바꿔 치안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인데요. AMS를 직접 확인한 참관객들은 “단순 영상 모니터링이 아닌 AI로 영상 관제와 관리를 진행하고 지도 위 영상 이벤트가 직접 표출되어 직관적인 영상 관제 환경으로 관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했습니다.
인공지능대학원, 영상으로 만나세요
THE AI TV에서는 현재 인공지능대학원 인터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대학들의 이야기를 현장감 있게 보고 싶으시다면 THE AI 유튜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십니다.
[THE AI TV] “고려대 AI대학원은 ‘AI Korea’다”
[THE AI TV] “성균관대AI대학원은 핫플레이스다”
[THE AI TV] “GIST AI대학원은 AI 실증 인재 양성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