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 “오픈소스, 엔터프라이즈 AI 혁신의 핵심 동력”
레드햇 서밋 개최, vLLM 기반 추론 플랫폼 공개 국내 AI 플랫폼 전환 사례로 BC카드 소개
글로벌 오픈소스 솔루션 선도기업 레드햇(Red Hat)이 28일 서울 삼성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업계 최대 규모의 오픈소스 기술 연례행사 ‘레드햇 서밋: 커넥트 2025(Red Hat Summit: Connect 2025)’를 성황리에 마쳤다.
‘기술의 전환점, 이제 함께 성장할 시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클라우드에서 인공지능(AI)으로의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아 기업들이 오픈소스 기반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빈센트 칼데이라(Vincent Caldeira) 레드햇 APAC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조연설에서 “클라우드 시대를 넘어 생성형 AI 시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오픈소스가 제공하는 유연성과 책임 있는 AI 원칙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레드햇은 고객이 기존 클라우드 투자를 기반으로 새로운 AI 역량을 확장하고, 불확실성을 경쟁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이언 스티븐스(Brian Stevens) 레드햇 수석 부사장 겸 AI CTO는 ‘레드햇 AI - 오픈소스가 여는 AI의 미래’ 세션에서 엔터프라이즈 AI의 실질적 과제를 다뤘다. 그는 “AI 워크로드 확장에서 추론 성능 최적화는 배포 및 유지 관리 비용을 관리하는 핵심”이라며 “vLLM을 지원하는 레드햇 인퍼런스 서버가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표준 추론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행사는 AI 플랫폼 중심의 인프라 설계와 차세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가속화라는 두 개 트랙으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BC카드가 레드햇 오픈시프트(Red Hat OpenShift) 기반 AI 플랫폼 전환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BC카드는 운영 효율화와 기술 혁신을 동시에 달성한 구체적 경험을 공유하며, 국내 금융권의 AI 도입 가능성을 실증했다.
김경상 한국레드햇 사장은 “생성형 AI 시대로의 전환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기업의 전략적 혁신을 요구한다”며 “한국레드햇은 한국 기업들의 클라우드-AI 전환을 지원하고, 책임 있는 AI 활용과 오픈소스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해 산업 전반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