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xAX] 휴가철 경계 공백, AI·드론이 지킨다
저출산 문제 대두… 인력 공백, 명절만 문제 아냐 AI·드론 등 첨단 기술 보완체제로 급부상 제도와 교란·해킹 등 문제 뒷받침 필요
저출산으로 인해 병력 감소 문제가 두드러지는 군대에서 명절 연휴는 경계 공백이 우려되는 기간이다. 병력 감소는 단기간에 해결이 어려운 만큼 인공지능(AI)이나 드론 등 첨단 기술들이 보완책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달 30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기자간담회 발표에 따르면 국군 병력은 지난 2002년 69만명을 기록한 이후 2017년까지 60만명 이상을 유지했지만, 2018년 57만명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48만명 수준까지 줄었고, 특히 저출산에 따른 병력 자원 감소와 복무기간 단축 영향으로 2040년에는 국군 병력이 35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40년 만에 국군 병력이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셈이다. 이날 안장관은 AI 기반의 유무인 복합체계를 비롯한 첨단 전력 강화 등을 추진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AI 기반의 유무인 복합체계는 사람이 직접 운용하는 유인 전력(전차·헬기·전투기)와 AI를 비롯한 무인 전력(드론·로봇·자율체계)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협력 운용되는 체계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사람이 탑승한 전투기나 헬기에 무인 드론들이 편재한 ‘유무인 복합편대(MUM-T)’ 체계는 드론들로 확보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전투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외에도 드론을 정찰용으로 많이 활용해 경계 근무 중에서 사람 사이 사각지대를 더욱 촘촘히 경계하는 등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
육군은 지난 2018년 드론봇 전투단을 창설해 무인 정찰 드론을 전방에 배치하고 있으며, 일부 부대에서는 드론을 이용해 경계 근무의 공백을 줄이는 실험을 하고 있다. 해군은 무인 수상정(USV)과 무인 잠수정을 활용해 해상 경계와 탐색 능력을 보완하려는 연구를 이어가고 있고, 공군 역시 MUM-T 개념을 적용한 훈련을 모색 중이다.
이같은 흐름은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AI의 판단 신뢰성 확보와 교란·해킹 등 사이버 보안 문제 등도 과제로 남아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저출산 시대에 병력 자원 감소는 불가피한 현실이지만 AI와 드론 도입은 여러 과제를 안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프로젝트인 만큼 제도와 보안 문제들이 뒷받침될 때 안보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