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피지컬 AI 키운다... 과제당 최대 100억 지원
자율실험·휴머노이드·제조AI 3대 분야 집중
정부가 피지컬 인공지능(Physical AI) 기술 육성에 본격 나선다.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AI 기술을 통해 제조업의 디지털 대전환을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자율실험실,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제조 등 피지컬AI 핵심 분야의 공동활용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모를 시작한다고 10일 발표했다. 각 과제당 최대 5년간 국비 100억원을 지원하는 대규모 투자다.
피지컬AI는 현실 세계의 물리적 법칙을 이해하고 로봇이나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차세대 AI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AI 기반 화학공정 및 소재합성 최적화 자율실험실 구축 사업은 AI, 로봇, 자동화 기술을 접목해 실험의 기획부터, 실행, 분석, 최적화까지 전 주기 자율화된 실험실(Autonomous Lab)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규모 실험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유망 실험 조건을 예측하고, 로봇 및 자동화 장비로 반복 실험을 수행해 결과를 학습해 AI가 후속 실험을 스스로 설계해 최적 소재와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소재·화학 R&D는 실험 의존도가 높고 반복작업이 많아 시간과 인력이 크게 소모되는 분야로, 자율실험 인프라를 통해 국내 기업의 개발 속도와 성공률을 혁신적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해당 과제는 지난해 10월 산업부가 발표한 ‘AI+R&DI 추진전략’의 후속으로 추진되는 선도 프로젝트다.
AI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혁신 센터 구축 사업은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조현장과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 환경을 구축하고 휴머노이드 개발 및 활용 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핵심기술 개발에 필수적인 시뮬레이션 플랫폼도 구축해 산업표준 제정 등도 연계 지원해 신속한 사업화 성과 창출을 유도한다.
제조AI 솔루션 개발 지원센터 구축 사업은 산업부가 추진하는 AI 팩토리 사업과 연계해 제조 현장의 실질적 AI 도입을 가속화한다. 자동차, 전자, 조선, 이차전지 등 국내 주력 제조업에서 수집한 고품질 데이터와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들의 AI 솔루션 개발을 위하 각종 도구를 지원한다.
산업부는 해당 과제가 난이도가 높고 고도의 AI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일반적인 공동활용 기반구축 사업과 달리 참여기관을 출연연, 대학 등 비영리기관으로 제한하지 않고 영리기관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또한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와 산업 수요를 반영해 일반적인 산업혁신기반구축 사업의 5년 수행 기간보다 단축된 기간 내 과제 완료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진행 중인 기술개발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기술의 신속한 사업화도 동시에 추진한다.
제경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자율실험,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제조는 산업부문 AI 대전환의 핵심과제”라며 “차세대 첨단기술 개발과 시장성과 창출을 앞당기기 위해 현장 수요에 맞는 유연하고 신속한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