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5주년 특집] AI 아티스트에 듣다 ①“발전하는 기술서 가장 중요한 건 인간 창작자 그 자체”
① AI 아티스트 릴레이 인터뷰 - 킵콴 작가 파리 AI 아티스트展서 ‘일월오봉도’ 전시 AI가 할 수 없는 감정적인 부분 표현하는 능력 중요
[편집자 주] 조선미디어그룹이 설립한 인공지능 전문매체 ‘더에이아이(THE AI)’가 창간 5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지난 5년간 AI 기술은 상상 그 이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특히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와 영상까지 창작해 내는 생성형 AI 기술은 예술의 영역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중심에는 창의적 감각으로 AI 기술을 예술로 승화시킨 아티스트들이 있습니다. THE AI는 창간 5주년을 맞아, AI 예술의 길을 개척해 나가는 이들의 이야기를 조명하는 특집을 마련했습니다. AI와 예술이 만나 만들어낸 새로운 물결, 그 중심에 선 아티스트들의 목소리를 전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5년 후를 상상해보면 시·청각을 넘어 인간의 오감을 모두 생성할 수 있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는 영화를 보는게 아닌 창작자가 창조한 세계 속에서 실제로 살아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AI) 아티스트 킵콴(본명 윤석관) 작가의 말이다. 그는 AI가 5년 후 어떻게 발전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달 11일(현지시간)부터 양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 AI 정상회의인 '파리 AI행동정상회의'(AI Action Summit)에서 작품을 전시한 아티스트다. 당시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12인의 AI 아티스트 전시회인 ‘Artists 展 : 미래의 결, 한국성’이 열렸다. 킵콴 작가는 이날 진행된 전시회서 ‘일월오봉도’(Ilwolobongdo)를 기획해 전시했다.
기업에서 사업전략담당으로 미래먹거리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일을 12년간 해왔던 킵콴 작가는 AI가 뜨기 시작했을 때 달리-2(DALLE-2)와 미드저니를 통해 받은 충격에 대해 설명했다. “직장인으로 재직 당시 미래먹거리를 발굴하던 중 AI가 미래먹거리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이미지 생성형 AI를 사용해봤다”며 “당시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고 이것이라면 미래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란 확신을 가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킵콴 작가가 파리 전시회에서 일월오봉도를 제작한 배경에는 킵콴 작가의 취향과 한국에 대한 사랑이 있었다. 그는 “우리나라의 복식과 미술을 정말 좋아하고 전시를 기획할 때 고민하던 중 일월오봉도가 생각이 났다”며 “저는 일월오봉도가 한국과 한국의 국민들을 상징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와 달이 뜨고 지는 하늘 아래 아름다운 금수강산이 있고 그 안에 누구보다 AI에 진심인 사람들로 가득한 나라를 표현하고 싶었다”며 “직접 일월오봉도를 스케치, 채색하고 일월오봉도에 사용된 색을 수집 후 정지된 이미지 형태의 병풍을 몇 가지 장면으로 쪼개어 AI로 작업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한 반응은 다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양한 시선이 많았고 제작 방식을 궁금해 하는 분들부터 제작 스토리를 물어보는 분들까지 다양하게 있었다”면서 “대체로 AI 기술에 대한 신비감과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과정(프로세스), 제 의도를 대체로 궁금해했다”고 말했다.
AI의 기술 발전의 속도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지난 2022년 초에 프롬프트 입력만으로도 이미지 생성되는 프로세스 자체를 보면 감탄이 나올 정도였지만 지금 생각하면 매우 아쉬운 품질이었다”며 “1년 뒤에는 정말 사실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됐을 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AI가 많이 생겨났다”고 말했다. 또 “예술을 공부하지 않았고 예술과 동떨어진 일을 했지만 지금은 AI 기술을 활용해 예술에 도전하고 있다”며 “예술 뿐 아니라 모든 장르에서 AI가 활용됨으로써 누구나 하고 싶은 분야에 도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한계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기술적 한계점은 계속해서 존재하지만 내일은 해결될 한계점이다”며 “오히려 AI가 발전하며 인간의 표현력이 확장되고 이를 통해 한계를 계속해서 돌파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1~2년 후에는 왠만한 표현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될 정도로 기술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해지는 것은 인간 창작자 그 자체다”며 “창작자의 기획과 철학, 세계관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AI가 할 수 없는 감정적인 부분을 프레임 안에서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더 중요해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킵콴 작가는 기술 발전의 시대에서의 마음가짐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AI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지금 상황에서 기술의 태풍에 휩쓸리지 말아야 한다”며 “내가 세상에 던지고 싶은 이야기를 찾아내고 놀라운 기술과 협업해 자신의 방식으로 현실화시켜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