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AI 정상회의에 韓 삼성·LG·네이버 등 참가... ‘AI 규제’ 논의
현지시간으로 10~11일, 프랑스 파리서 정상회의 주최 측 공동선언문 서명 목표...美 동참 미지수
국내 기업들이 참가한 파리AI 행동 정상회의에서 인공지능(AI)의 규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현지시간으로 10일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 그랑 팔레에서 진행되는 ‘AI 행동 정상회의’에는 삼성전자·LG·네이버·크라우드웍스 등 국내 기업들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 김명주 AI안전연구소장이 주요 세션에 참석한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구속력 있는 ‘규제’에 대한 논의가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예정이다.
지난 2023년 영국 런던, 지난해 서울에 이어 3회차를 맞은 이번 AI 정상회의에는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JD 밴스 미국 부통령, 장궈칭 중국 부총리,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100여개국에서 정치 지도자 1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프랑스 아서 멘쉬 스타트업 미스트랄AI CEO,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사장,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80개국의 기업 관계자도 참석한다.
프랑스 정부는 앞서 “AI는 우리 사회에 중대한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이 있다”며 “이런 기술 개발에 내재한 위험을 억제하고, 신뢰의 틀 안에서 AI가 진보와 자유의 약속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이번 논의의 핵심 과제”라고 회의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주최 측은 각국이 보다 윤리적이고 민주적이며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AI를 위한 약속을 담은 공동 선언문에 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AI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이 중국과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공동 선언에 동의할지는 미지수다.
앞서 지난해 5월 서울에서 진행된 AI 정상회의는 ‘AI 안전 연구소’ 설립과 글로벌 협력 방안, AI 위험에 대한 회복 탄력성 확보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그 결과로 AI 안전·혁신·포용에 대한 국제적 협력과 ‘AI 안전 연구소’ 설립, AI 전력 소모 대응 AI 반도체 비전을 골자로 한 서울 장관 성명이 채택된 바 있다. 또한 안전성에 기반한 혁신과 AI 국가 격차에 대한 대응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포용성 측면에서 인류에 AI 기술에 대해 평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AI 위험성을 평가하는 표준 기준을 만들어 규제하고 기술 혁신을 이뤄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종호 전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이 국제사회의 아젠다를 제시하고 규범 형성을 주도해 나갈 실력과 리더십이 있음을 확인했다”며 “지난해 영국에서 ‘AI 안전 정상회의’ 결실로 나온 블레츨리 선언’, 서울에서의 ‘서울 선언’ 등 성과가 내년 2월 프랑스에서 개최될 ‘AI 행동 정상회의’로 이어 나가 국제사회 AI의 안전 혁신 포용을 달성하는 서울 효과를 일으키기를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